홍곡(鴻鵠)
-
50%일기(日記) 2015. 4. 24. 10:42
50% 농구의 전설 최고의 마이클 조던의 야투 성공률이 50%였다 합니다.코비가 50%를 넘은적이 없다고 합니다. 야구에서도 우리나라에서 4할을 넘은 사람은 백인천 전 감독밖에 없다고 합니다.이승엽선수도 이종범선수도 양준혁선수도 4할을 넘은 적이 없다고 합니다. 조던도 10번중에 5번 성공해서 최고고야구선수들은 10번중에 3번만 쳐도 최고의 타자가 된답니다. 그런데 .... 우리는 10번중에 7번, 8번 성공하려하니...(여러분은 10번중에 7번, 8번 성공하기를 안바라는것 같은가요?)제가 볼땐 그런거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매매 하실이유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
몽환화 - 히가시노 게이고서재(書齋)/히가시노 게이고 2015. 4. 23. 12:24
제목만 봐서는 무슨 책일지...표지는 무언가 꿈속의 꽃 같은 그런 느낌이기도 하다. 프롤로그 부터 책의 반 정도까지는 뭔가를 흩뿌려 놓는 느낌이 든다. 전혀 연관성이 없어보이는 무언가가 흩뿌려져 있는데 그것들이 계속 신경이 쓰인다. 그 흩뿌려진 이야기가 어떤 식으로 연관성을 보일까? 궁금해하면서 읽게 된다. 특히 다소 충격적인 프롤로그 1, 2는 도대체 왜 프롤로그로 나왔는지 모르겠어서 짜증이 날 정도로 던져 놓은 느낌이 든다. 물론 나중엔 다 연관성이 있다. 말이 안되게 말이 된다. 정말 이게 어떻게 이렇게 맞춰지지 싶을정도로 앞뒤가 딱딱 맞아 들어간다. 이게 히가시노 게이고의 힘이지 싶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화재가 되었다고 해서 원자력에 관한 소설인가 싶지만 그렇지는 않다. 주인공이 원자력을 공부하..
-
경제민주화의 함정 - 한국경제연구원 편저서재(書齋)/그외 2015. 4. 13. 15:54
조금은 억지스러운 용어 '경제민주화' 아니 많이 억지스러운 용어 경제민주화다. 평소 이런 억지 스런 용어가 있나 싶어서 경제민주화라고 하면 반감이 갔다. 그래서 제목부터 마음에 들어서 주문해서 읽은 책. 사실 경제민주화라는 단어는 민주화라는 그 단어에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친밀감이 있는, 그리고 민주화라고 하면 무조건 좋게 여기는 우리나라이기에 가능한 용어라고 생각한다. 책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경제민주화를 비판하고 있다. 용어 뿐만 아니라 경제민주화라는 것을 이뤄나가기 위한 정부나 정치권의 움직임을 경제흐름에 반하는 정책과 행위라고 말하고 있다. 읽다가 든 생각이 여기의 글들은 한국경제연구원에서 편저를 한것 처럼 친 경제주의 적인 요소가 강할수 밖어 없을꺼란것이다. 당연히 경제민주화라는 이름하에 국가에..
-
용의자 X의 헌신 - 히가시노 게이고서재(書齋)/히가시노 게이고 2015. 4. 10. 16:14
이 책을 읽으면서 한가지 아쉬운것은, 아니 정확하게 이야기 하면 읽기 전에 잘못한것은 영화를 먼저 봤다는 것이다. 일본 영화 용의자 X의 헌신을 먼저 보고 책을 읽었는데 영화의 주연 배우가 너무 뇌리에 남아서 책을 읽는 내내 내 상상력을 제한했다. 유가와 교수야 워낙 알려져서 그렇다 치고 천재 수학자 용의자 X로 나오는 츠츠미 신이치가 용의자의 모습으로 너무 뇌리에 각인되어 다른 인물로의 상상이 잘 안되었다. 분명 책에 묘사된 용의자와 영화 속의 용의자는 외모가 조금 다른듯 한데 말이다. 일본에서 영화로 나왔고, 한국에서도 영화로 나와서 워낙 유명한 책이다. 이 책 정말 재미 있게 읽었다.한국의 영화보다는 10배 정도 책이 재미 있는 듯.. 일본영화 용의자 X의 헌신 우리 영화는 제목을 용의자 X로 했네요.
-
브루투스의 심장 - 히가시노 게이고서재(書齋)/히가시노 게이고 2015. 4. 9. 12:29
알리바이 실제 생활에서 거의 쓸모가 없는 단어가 추리소설에서는 엄청 중요한 단어가 된다. 알리바이가 있고 없고에 따라서 범인이 판명되니깐 말이다. 그런데 실제 경찰들이 어떤 사건을 풀어 나갈때도 알리바이가 그렇게 중요한 것인지 그것은 모르겠다.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증거보다 알리바이가 우선일까? 일본 책을 보면, 그리고 명탐정 코난 같은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면 정말 알리바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것 같다는 느낌을 받을때가 많다. 알리비아에 대한 소설이다. 기발하게 알리바이를 만드는 그런데 그 알리바이가 거짓으로 만든것이 아닌 진짜 알리바이가 되는 방법.